베가LTE 쓰시는 분들, 하루도 못 가는 배터리에 불만이 많으셨죠? 저 역시도 출근하면 반으로 줄어들어 있는 배터리 때문에 업무에 지장이 참 많았었습니다. 그래서 좀 찾아보았죠. 배터리 하루만이라도 가게 해줄 방법은 없나...

사실 저는 이쪽 분야에 있어서 약간의 감이 있었습니다. LTE망이 완전하지 않아 3G와 LTE 망을 오가면서 배터리 소비량이 많아질 거라는 것을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죠. 그래서 배터리 문제 해결 방법을 3G Only mode 에서 찾았습니다. 3G가 그리 느리지도 않고, 베가LTE 정도의 초호화 사양이면 3G도 쓰기 괜찮다는 가정이었습니다.

역시 가정은 맞아들어갔고, 배터리 수명은 LTE 겸용일 때 평소 배터리 유지 시간의 2~3배 정도 늘었고, LTE 신호가 약할 때 폰이 LTE와 3G 사이에서 갈등하며 느려졌던 현상이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랙이 없으니 오히려 인터넷 속도가 더 빨라진 느낌이었습니다.

다음은 SKT 베가 LTE 전용 시크릿 코드 입니다.

다이얼에서 위 그림처럼 누르고 #을 하나 더 누르면(##7593#) 아래 그림과 같은 여러가지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WCDMA/GSM/LTE Band Select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이어 나온 화면에서 WCDMA Only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리부트 하면서 LTE를 오가지 않는 순수 3G폰이 됩니다.

*참고 : SKT 베가LTE에만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아울러 다른 세팅을 건들지 마세요. 폰이 벽돌이 되는 수가 있습니다. 아울러 본 세팅은 참고용 정보이며 실행에 관한 모든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적용 후 배터리 사용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빠른 것도 좋지만 일단 폰이 살아있어야 뭘 하지 않겠습니까? 올해 하반기까지는 망 상태가 그리 나아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전 2012년 중순 쯤에나 LTE 모드를 다시 켜려고 합니다.

그나저나, 그럼 이 LTE 요금제는 뭐가 되는 거죠...? 왜 우리가 실험용 쥐가 되어야 하는지... 요금이라도 싸게 해주던가... 무제한도 아니고 비싸기만 하고 있지도 않은 LTE망 잡느라 배터리만 잡아 먹고... 소비자가 무슨 봉인 줄 아는지... "고객은 왕이다" 이거 마케팅의 기본 원칙 아니었나요...? 기업들이 저 살겠다고 소비자를 우롱하는군요... 통신사들이 좀더 양심 있고 합리적인 기업들이 되길 바랍니다.

한편, 스카이는 저전력 기술을 정말 많이 연구하긴 한 모양입니다. 3g 모드로 바꾸니 배터리 수명이 정말 길어지는군요.

참조 : http://bit.ly/A0bVJZ

좋은 정보이셨다면 아래 손가락 버튼을 꾹 한 번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갤럭시탭, 아이패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에게 먼 이야기였던 것 같지만, 이제는 지하철, 거리, 커피숍, 패스트푸드점 등 여기저기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갤럭시탭, 아이패드 뿐만 아니다. 이제는 Android 3.0 허니콤을 탑재한 모토로라의 "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7’ OS를 쓴 HP "슬레이트", 5인치의 독특한 화면 크기를 자랑하는 델의 "스트리크", 블랙베리폰으로 유명한 RIM(Research In Motion)의 "플레이북" 등 올해는 아이패드와 유사한 부류의 기기를 많이 볼 수 있을 전망이다.

그런데, 필자는 왜 "아이패드와 유사한 부류의 기기"라 하고 있는가?

사실, 이러한 기기의 분류를 언론에서는 태블릿PC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태블릿PC 보다는 태블릿이라는 용어가 맞고 태블릿이라는 용어 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명칭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든다.

네티즌들도 이에 대한 찬반 여론이 있는 것으로 안다. 사실, 우리가 Sony의 "Walkman"라는 브랜드를 일반명사처럼 사용했던 사실을 언급한다면 딱히 할 말은 없다. 아직도 "워크맨"이라 해서 그러한 부류의 기기를 떠올리지 못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언어의 "의미 전달" 측면이 핵심이 된다면, 어떠한 측면에서 "태블릿PC"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 되어 의미 전달이 잘 되면 문제는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애초에 "태블릿"과 "태블릿PC"는 그 의미가 달랐다.
태블릿은 전자펜으로 그린 그림을 컴퓨터 화면으로 옮기기 위해서 만들어진 기기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태블릿PC는 태블릿처럼 펜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판을 갖춘 개인용 PC를 의미하는 것이었다는 것이다.

[참고] - Wacom Tablets


[참고] - Tablet PCs


그리고 또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이렇게 위에 설명한 기능들을 갖춘 기기가 아직도 존재하고 있고 나오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쯤 되면 의미 전달에 있어 약간의 문제가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전에 나온, 그리고 아직도 나오고 있는 이전의 "태블릿"과 "태블릿PC"는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의 문제인 것이다.
[참고] 가깝지만 다른 디지털을 말한다 by 칫솔 스마트패드가 맞지 않을까?

또 한 블로거는 필기 기능에 대한 문제점을 짚었다. 아이패드가 필기가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손바닥의 눌림 현상 때문에 서예 자세로 써야 하며, 이러한 필기는 진정한 사용성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http://blog.zerial.net/2623079



이에, 다른 특징과 기능을 갖는, 그리고 그 사용성과 용도가 다른 곳에 있는 아이패드나 갤럭시탭 등의 기기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리는 것이 타당하다는 이야기이다.

이미 언론에서도 적지 않은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듯 하다.
전자신문(etnews) 2011.02.22 - 뉴욕타임스 "아이패드 대항마, 삼성 '갤럭시탭' 모토로라 '줌' 기대주"
이 기사를 보면 얼마나 혼란스러운 상황인지 알 수 있다. 물론 기자는 여러가지 의미를 담아가며 단어를 선택 했을 줄로 안다. 그러나 한 기사 내에 "스마트패드", "태블릿PC", "태블릿"을 모두 쓰면서, 결국엔 필자가 "아이패드 류"라 했던 기기들을 의미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전부터 있어왔던 "태블릿PC"와 "태블릿" 만을 지칭할 때는 어떤 단어로도 표현이 안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이중 "스마트패드"라는 명칭은 가장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라는 것이다. 이 "스마트패드"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이전 기기와의 혼선 없이 이 혼란스러운 상황을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이전에 "Content"의 국내 용어를 "콘텐츠"라 정의해 버렸던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정부 산하 기관에서 정한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도 할 말은 많지만, 이미 지나가 버린 일...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본 사안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기관에서 공식적인 용어 가이드를, 좀더 스마트하게 결정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몸이 예전 같지 않다. 늘 어깨가 아프고 눈이 침침하다. 혹자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기는 증상이라 말한다. 하지만, 내가 느끼는 관점은 다르다. 스마트폰 2개, 갤럭시탭 1개를 사용하고 있는 필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한 것 같은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며칠 전 스마트폰과 건강에 관련한 흥미로운 뉴스를 봤다. 스마트폰이 건강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스마트폰 증후군"이라는 뉴스이다.

얼핏 생각해 봐도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면 눈이나 각종 관절, 근육 등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 같다.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추측으로 말이다.

거의 매일 30분 간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고, 또 몇 십 분 동안 트윗덱(TweetDeck)에 올라온 트위터(Twitter)와 페이스북(Facebook)의 글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SKT에서 제공하는 App인 스마트데일리(Smart Daily)에서 Download 해놓은 기사들을 확인하고 연합뉴스의 기사를 훑어본다. 그리고 삐릭거리는 alert을 통해 개인 Gmail과 회사 메일을 열어보고는 한참 동안을 쳐다보고 있다.

하루종일 거의 동일한 일상의 반복이다. 다만 공통점이 있다면, 스마트폰과 늘 함께 있다는 것이다. 업무 중에는 대부분 스마트폰 2대와 씨름을 하고, 집에 돌아가면 스마트패드(갤럭시탭; 사실, 태블릿은 이전부터 있었던 터치 기반의 노트북 내지는 그림을 그리기 위한 전자 툴이다. 혹자는 갤럭시탭, 아이탭 류의 태블릿은 태블릿이라 부르는 것 보다는 스마트패드로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한다. 이 논의는 추후 글을 통해...)에 붙어 못다 본 영화와 책들을 보느라 시간 가는 줄을 모른다. (이는 물론 필자에게 몇 달 동안 떨어지지 않는 약간의 불면증과도 관련이 없질 않은 듯 하다...)

책을 읽을 때와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볼 때의 눈 깜박임 빈도를 비교해 봤습니다.
책을 읽을 때에는 1분 동안 열 번 정도 깜빡였지만,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볼 때에는 여섯 번만 깜빡였습니다.
<인터뷰>신영주(강남성심병원 안과전문의):"눈을 잘 깜빡거리지 않게 되면, 눈물이 많이 증발을 해서 안구 건조증이 생기고……."
전문의들은 스마트폰을 한 번에 20분 이상 사용하지 말 것을 권유합니다.
원문: [튼튼생생 365일] “스마트폰, 한 번에 20분 만 쓰세요” - KBS 뉴스 - 최건일 기자

어쩐지 늘 눈이 뻑뻑하고 눈에 무언가가 거슬리도록 침침했었다. 아울러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를 잡고 있는 자세에 따라 목, 어깨나 손가락 관절에 무리가 오기도 한다. 또한 같은 기사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화장실에서의 오랜 사용이 엉덩이에 말 못할 아픔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는 물론, 예전에 화장실에서 책을 읽었던 시절이나 매한가지이긴 하지만 말이다.

어찌됐든 건강한 생활을 위해 스마트폰의 활용도 적당히 해야겠다. 뭐든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고 했다. 이제는 일상생활이 되어 버린 Smart Life 지만, 가끔은 나가서 시리도록 파란 하늘도 보고, 기지개도 켜고, 손가락도 풀어주는, Sound Life 의 균형도 이뤄줘야겠다...


[SC 페이퍼진] 스마트폰 주고객은 20!30대 남성...이유는?
2010-02-08 11:16
 지난해 11월 아이폰 출시를 신호탄으로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스마트폰의 주고객은 20~30대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KT가 아이폰 초기 가입자 20만명의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20대가 45%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36%로 뒤를 이었다. 이어 40대 16%, 10대 3% 순이다.

 또 성별로는 남성이 69%, 여성이 28%인 것으로 나타났다.

 KT가 삼성전자로부터 공급받아 선보인 스마트폰 단말기 쇼옴니아의 구매층도 비슷한 양상. KT 관계자는 "20~30대의 남성 직장인이 가장 많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이 T옴니아2의 초기 가입 고객 10만명을 대상으로 한 연령대별 분석에서 30대 남성이 28%로 가장 많았고 20대 남성이 27%로 2위에 올랐다.

 T옴니아2 고객의 구매 사유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기능이 56%로 1위에 올랐고 스마트폰 고유기능 활용이 16%로 2위에 올랐다.

 스마트폰을 단체로 구입해 직원들에게 나눠주는 기업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40~50대 연령층에서도 스마트폰 이용이 확산될 전망이다.

 코오롱그룹은 2월부터 순차적으로 전체 임직원 8000명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코오롱그룹 관계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을 할 수 있는 모바일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그룹 차원에서 스마트폰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신한은행도 임직원 1만500명에게 스마트폰 지급을 검토 중이다.

 이미 직원들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한 기업들의 만족도도 높은 편. 지난해 팀장급 이상 600여명의 임직원에게 옴니아 등 스마트폰을 지급한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스마트폰 때문에 이동을 하거나 해외에서도 결제가 가능해졌다. 또 스마트폰을 통해 수시로 그룹의 게시판을 체크하면서 업무 능률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은 통합 커뮤니케이션 환경 구축 차원에서 스마트폰을 일찌감치 도입했다.

 지난달 20일 쇼옴니아를 도입한 도시철도공사도 스마트폰으로 업무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서울지하철 5-6-7-8호선을 운영하는 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이전에는 특정역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역 관계자가 현장을 확인한 뒤 사무실에서 사고상황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관련직원이 출동하는 형식이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지급한 뒤에는 사고현장을 처음 접한 직원이 사진을 찍어 고장접수센터로 전송하면 이 사진이 고장수리 직원에게 전송돼 관련직원이 출동하는 방식으로 업무가 이뤄지고 있다.

 정부기관 중에선 기상청이 최근 전국에 흩어져 있는 직원 1500명에게 스마트폰을 지급했다. 기상청 예보관들은 그동안 사무실에서만 기상 영상을 확인할 수 있었던 상황. 하지만 이제는 스마트폰 도입으로 집에서도 기상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돼 응급상황에 신속 대처가 가능하게 됐다고 기상청 관계자는 밝혔다.

 이밖에 포스코와 삼성증권, CJ제일제당, 서울 아산병원 등도 스마트폰을 도입해 업무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 송진현 기자>

기업 시장서 스마트폰 대세는 ‘옴니아’
삼성증권 CJ제일제당 아모레퍼시픽 삼양그룹 기상청 등 모두 옴니아폰 도입
2010년 01월 07일 (목) 17:36:57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kr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구현하려는 기업들 대부분이

삼성전자의 옴니아폰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근 KT가 국내 출시해 선풍적인 인기를 몰고 있는 아이폰은 

기업 차원에서  모바일 컴퓨팅 환경 구현을 위해 도입하는 경우는 극히 적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앞서 모바일 컴퓨팅 환경을 도입한 삼성증권, 삼성SDS, CJ제일제당, 대한항공, 한진해운 등에 이어 최근 도입을 추진하는 아모레퍼시픽, 기상청, 삼양그룹, 코오롱그룹 등 대부분의 기업들이 단말기로 옴니아폰을 선택했다.

 

기업별로는 단말기 도입 규모는 

△삼성SDS 3000대

△삼성증권 1000대

△기상청 1500대

△아모레퍼시픽 600대

△삼양그룹 150대

CJ제일제당 80대

△한진해운 40대 등이다.

이들 기업들은 대부분 도입 초기로

일부 계열사와 임원진 대상으로 1차 적용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옴니아폰 도입 대수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그룹은 현재 진행 중이어서 정확하게 도입 대수가 확정되지는 않았다.

이들 기업들은 대부분 그룹웨어와 일부 업무 애플리케이션을 옴니아폰에 연동해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모바일 컴퓨팅 환경을 도입하는 기업이 옴니아폰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애플리케이션 연동이 유연하기 때문이다.

아이폰은 MS아웃룩의 경우 단말기에 탑재돼 있어 e메일 등을 송수신할 수 있지만

그 외의 다른 업무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용으로 별도 개발해

앱스토어에 업로드한 다음 다시 내려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 

 

또 현재 국내 기업들이 자체 개발해 사용하는 전재결재시스템들은

대부분이 MS 윈도 운영체계(OS)를 기반으로 하는 반면, 

아이폰은 애플의 자체 OS를 사용하고 있어

기존 전자결재시스템과 모바일의 연동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옴니아폰은 윈도 OS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배터리 교체 이슈와 고장 시 AS도

기업들이 아이폰을 선택하기 꺼려하도록 만들고 있다. 

우선 아이폰은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고

전원으로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모바일로 업무를 보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해결할 길이 없다. 

또 아직 AS 체계가 없어 고장이 날 경우 단말기를 교체해주고 있는데

재고 물량이 없을 경우 상당 시일을 기다려야 한다.

업무 연속성을 위해 스마트폰을 도입해

모바일 오피스 환경을 구현하고자 했지만 

이런 문제로 업무 공백이 발생할 경우 업무 공백의 귀책 사유는  기업에 있게 된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kr


+ Recent posts